불건전한 고무동판지는 환경보호성면에서 일정한 우세를 갖고있지만 구체적인 환경보호여부는 그 생산, 사용 및 페기처리 등 여러 환절을 고려해야 한다.
1. 재질성분과 환경보호성
재질성분: 마르지 않은 접착제 동판지는 주로 동판지를 기재로 하고 뒷면에 접착제를 칠하며 규소보호지를 바탕지로 구성한다.동판지 자체의 성분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어느 정도 환경보호성을 보장했다.
환경보호 성능: 일부 불건전한 고무동판지는 분해원재료로 제작되는데 이런 재료는 페기된후 자연적으로 분해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수 있다.이와 동시에 일부 공장들은 생산과정에서 에너지절약과 오염물방출감소를 중시하고 환경보호의 생산공예와 설비를 채용하여 제품의 환경보호성능을 한층 더 제고시켰다.
2. 생산과정과 환경보호성
생산공정: 마르지 않은 고무동판지의 생산과정에서 환경보호의 생산공정과 설비를 채용하면 페수, 페기, 페기 등 오염물의 배출을 줄이고 환경에 대한 오염을 낮출수 있다.
환경보호 인증: 일부 업체가 제품을 위해 환경보호 인증, 예를 들어 RoHS 인증 등을 신청할 것이다. 이런 인증은 제품이 관련 환경보호 기준과 요구에 부합되고 제품의 환경보호성을 더욱 강화했다.
3. 사용과 폐기 처리
사용 단계: 마르지 않은 고무 동판지는 포장, 라벨 등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그 사용 과정 자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적다.그러나 사용 과정에서 낭비를 피하고 재료 자원을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폐기 처리: 불마른 고무 동판지는 폐기 후 효과적으로 회수되고 처리될 수 있다면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다.일부 재활용 기관은 버려진 불건전 접착제 재료를 분류, 파쇄, 재활용 등으로 처리해 새로운 자원으로 전환한다.
4. 총화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마르지 않은 고무 동판지는 재질 성분, 생산 과정, 사용과 폐기 처리 등 방면에서 모두 일정한 환경보호성을 가지고 있다.그러나 구체적인 환경보호 여부는 여러 요소의 종합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불건전한 고무동판지를 선택할 때 소비자는 제품의 환경보호인증상황, 공장측의 생산공정과 설비, 제품의 회수리용상황 등에 관심을 돌리여 더욱 환경보호적인 선택을 할수 있다.이와 동시에 사용과정에서도 자원을 절약하고 랑비를 줄이며 환경보호사업의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하는데 중시를 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