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바코드와 물류바코드는 여러 면에서 뚜렷한 구별이 존재하는데 다음은 이 두가지 바코드에 대한 상세한 비교이다.
1. 정의와 용도
바코드 유형 | 정의 및 용도 |
---|---|
상품 바코드 | 상품 바코드는 최종 소비품의 유일한 표지로서 소매업의 현대화 관리에 사용된다.그것은 상품이 판매 단계에서 자동으로 식별, 추적, 관리하는데 편리하다. |
물류 바코드 | 물류바코드는 공급사슬에서 물류분야의 구체적인 실물을 표시하는 특수코드로서 전반 무역과정을 관통하는데 여기에는 생산, 운수, 창고저장, 배송 등 고리가 포함되며 물품에 대한 실시간 추적과 데터공유를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
2. 표지 대상
상품 바코드: 단일 상품을 표시하고 최종 소비품의 유일한 표지이다.
물류 바코드: 표시된 것은 저장 및 운송 단위 (또는 무역 단위) 이며, 일반적으로 여러 개 또는 여러 가지 상품의 집합을 포함합니다.
3. 서비스 범위
상품 바코드: 주로 소비 단계에 서비스되며, 상품이 최종 사용자에게 판매되면 상품 바코드는 그 존재 가치를 완성한다.
물류 바코드: 공급망 물류의 전 과정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이런 부분에서 유일한 표지이다.
4. 정보 포함
상품 바코드: 보통 무의미한 13비트 디지털 바코드로 주로 상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물류 바코드: 가변적인 바코드로 여러 가지 의미와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의 부피, 무게, 생산 날짜, 로트 번호 등이다.
5. 가변성
상품바코드: 국제화, 통용화, 표준화된 상품의 유일한 표지로서 그 표준은 증감갱신할 필요가 없고 유지보수에 편리하다.
물류 바코드: 국제 무역이 발전함에 따라 무역 파트너가 각종 정보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물류 바코드의 내용은 끊임없이 보완되고 풍부해야 하며 그 기준도 자주 유지해야 한다.
6. 채용한 코드제
상품 바코드: EAN/UPC 코드를 많이 사용하고 바코드 길이가 고정되며 정보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물류바코드: 주로 UCC/EAN-128코드제를 사용하는데 바코드의 길이가 가변적이고 정보용량이 크다.
7. 응용분야
상품 바코드: 주로 소매업에 응용되고 POS 시스템에서 상품의 자동 식별, 자동 주소 찾기와 자동 결제를 실현한다.
물류 바코드: 물류 현대화 관리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전체 물류 과정을 관통하며 물품에 대한 실시간 추적과 데이터 공유를 실현한다.
요약하자면, 상품 바코드와 물류 바코드는 정의와 용도, 표지 대상, 서비스 범위, 정보 포함, 가변성, 채택된 코드제 및 응용 분야 등 방면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이러한 차이로 인해 그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고 상품 유통과 물류 관리의 현대화와 효율화를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