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PP (양방향 스트레칭 폴리프로필렌) 합성지의 광택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면으로 귀납할 수 있다.
1. 생산과정에서의 요소
조제 및 보조제:
수소화석유수지, 접착제, 정전기, 상활제 등 첨가제의 종류와 용량은 BOPP 합성지의 광택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이러한 첨가물의 박막에서의 이동과 분포는 박막의 표면형태를 개변하여 빛에 대한 반사와 굴절 특성에 영향을 준다.
처방 중의 무기 항접착제와 일부 이동성 비이온 표면활성제류 정전기 방지제는 PP (폴리프로필렌) 와의 상용성이 비교적 떨어지기 때문에 박막 표면에 집결층을 형성하여 광택도를 낮추기 쉽기 때문에 광택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공 프로세스:
가공 온도와 생산 라인 속도도 광택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가공 온도가 너무 높거나 생산 라인의 속도가 너무 빠르면 박막 내부의 결정이 완전하지 않아 표면의 평평도와 광택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트레칭 공정에서 종횡 두 방향의 스트레칭 비율과 스트레칭 속도도 박막의 분자 방향과 결정 구조에 영향을 주고 광택도에 영향을 준다.
2. 저장 과정 중의 요소
스토리지 시간 및 조건:
저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BOPP 합성지의 광택도는 전반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이는 주로 심층첨가제가 표면으로 이동하여 집결층을 형성하여 박막의 표면형태를 개변시켰기때문이다.
온도, 습도와 같은 저장 조건도 첨가제의 이동 속도와 박막의 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쳐 광택도에 영향을 미친다.
3. 재료 자체의 성질
PP(폴리프로필렌) 원료의 성질:
PP 원료의 분자량 분포, 결정도 등의 성질은 BOPP 합성지의 신장 성능과 결정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광택도에 영향을 준다.
박막의 두께와 구조:
박막의 두께가 균일할수록 구조가 치밀할수록 그 광택도는 일반적으로 좋다.반대로 박막의 두께가 고르지 않거나 결함이 있으면 광택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4. 후처리 공정
표면코팅처리: 례를 들면 플라즈마처리 등은 BOPP합성지의 인쇄성과 접착성을 개선할수 있으며 동시에 그 광택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코팅 재료의 종류와 사용량은 광택도와 기타 성능을 균형 있게 조절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BOPP 합성지의 광택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생산 과정 중의 조제와 조제, 가공 공정 및 저장 과정 중의 시간과 조건 등을 포함한 다방면이다.안정적이고 우수한 광택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생산, 저장 및 사후 처리 과정에서 각 파라미터와 조건을 엄격히 통제해야 한다.